올해 장마가 며칠 빼고 계속 된다는 괴담이 돌며 장마 예상기간과 대비 방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계속 장마라곤 하는데 해가 쨍쨍한 날도 많아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장마인데 해 쨍쨍한 이유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마인데 해가 쨍쨍한 이유
올해 장마는 특정 지역에 비가 집중되는 국지성 폭우를 동반하는 경향이 큰데요. 장마에 영향을 미치는 저기압 상층의 무거운 공기가 내려오며 수증기를 머금은 하층 공기와 조우하며 두꺼운 비구름대를 형성해 특정 지역에 많은 비를 내리는 현상이 잦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를 ‘마른장마’라고 하기도 하는데, 전체 강수량은 적되 특정 지역에 쏟아붓는 양상을 보입니다.
통상 장맛비는 장시간 느리게 내리는 경향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장마 기간 폭우가 집중되는 것도 저기압 상의 대기 불안정 때문이라고 하네요. 최근에도 수도권과 기타지역은 비가 별로 오지 않았음에도 전남 광주에 시간당 54.1㎜의 비가 내려 해당 지역 시간당 역대 강수량 기록을 경신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장마 뜻
'장마’라고 하면 흔히 한자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사실 장마는 한자어가 아닌 우리말이라고 합니다. ‘길다’는 뜻의 한자 ‘장(長)’에 물의 고유어인 ‘맣(=비)’의 합성어가 오늘의 ‘장마’에 이르긴 했지만 한자어로 인정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7월에 진짜 내내 비올까!?
온라인 커뮤니티, SNS 등에서 올 7월 사흘정도 빼고 매일 비가 내린다는 괴담(?)을 들어보셨을것같은데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일기예보 시스템상에서 올해 서울 7,8월 날씨 정보에 의하면 올 7월은 계속 비가 온다고 되어 있습니다.
기상청은 현대 과학기술로 날씨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기간은 3일에서 최대 10일이라며 한달 이상의 기간을 매일 일자별로 예상하는 것은 신뢰도가 떨어지는 자료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현재까지 7월달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 8월달에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 많을 확률이 약 30%가량 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2023 장마 예상기간
6월부터 장마가 시작되었는데 예년보다 일주일 정도 늦게 시작된 것이라고 합니다. 7월 2일에 제주도에서 시작되어 4,5일에는 장마전선의 북상으로 전국에 비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이후에는 흐리다가 10일-23일에는 다시 많은 비가 내리는 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7월24일~30일에는 많지는 않지만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 7월31일~8월6일에는 많은 비가 내리는 때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기예보는 3일-10일 전이 비교적 정확하므로 참고용으로만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장마철 대비방법
자차보험 가입
태풍이나 홍수 등 수재로 인해 차량이 침수돼 보상을 받으려면 자동차보험 자기차량손해담보(자차보험)에 가입돼 있어야 하는데요. 특히 이 경우 보험사로부터 차량의 현재 가치에 준하는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작년 홍수로 인한 침수로 많은 차량이 피해를 입은 만큼 미리 자차보험 가입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저지대 물막이판 설치
반지하나 저지대로 침수 위험이 높은 집의 경우 물막이판을 설치하는 것이 좋은데요. 집주인의 동의가 있는 경우 침수위험 지역은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지원한다고 하니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습기, 에어컨 준비
장마철 습도가 높아지면 집안의 곰팡이뿐 아니라 호흡기, 피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본격 장마가 시작되기 전 제습기나 에어컨, 습기 제거제를 장만하여 대비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방수 처리와 용품 준비
집이나 건물 주변에서 물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 후 밀폐 처리를 하거나 방수 제품을 사용하여 누수를 방지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우산과 우비, 레인부츠, 가방커버, 신발커버 등을 준비하여 외출 시 젖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올해 장마 괴담 때문에 레인부츠의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었다는 소식도 들려오네요.
하천과 하수구 주변 피하기
작년 무엇보다 피해가 컸던건 하천이 범람하며 물이 한번에 밀려들어오면서 대피 시간이 부족했던것인데요. 잠깐 사이에 어마어마한 양으로 물이 불어나기도 하므로 하천 주변에서는 각별히 유의하셔야 합니다. 특히 물이 범람한 상태에서는 바닥이 잘 보이지 않는데, 이때 불어난 물로 인해 뚜껑이 열린 하수구에 빠지게 되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장소를 최대한 피하셔서 피해를 최소화 하시기 바랍니다.
2023 장마 예상기간과 대비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아직 정확히 기간을 예상하긴 힘드나 우리나라는 작년 장마철에 큰 피해를 본 만큼 더욱 철저하게 대비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